인권정책연구소 소셜 공유 테스트
테스트입니다.
This author has not written his bio yet.
But we are proud to say that humanpolicy contributed 234 entries already.
테스트입니다.
미투 운동은 체제 안에 잠복한 차별을 폭로하고 그 자체를 변혁하려는 움직임이다. 그래서 미투 운동은 21세기형 인권혁명이다. ‘아주 작은 차이’라는 제목의 책이 있다. 독일 페미니즘 잡지 <엠마>의 창간자 알리스 슈바르처가 여성 13명과 인터뷰한 내용을 담은 것이다. 유럽 68혁명의 사상적 진지 역할을 했던 프랑크푸르트학파. 그 중에 이름만 대면 알 만한 한 비판이론가의 아내는 인터뷰에서 자신이 일상적으로 남편으로부터 […]
서울대학교 인권센터와 사단법인 인권정책연구소(이사장 박종화 목사)는 10일 세계인권선언 공표 67주년을 맞아 ‘한국에서 지역인권의 제도화, 그 성과와 과제’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공동개최한다. 8일 오후 3시 서울 관악구 교내 인권센터에서 열리는 이번 토론회에서는 지방자치단체에서의 인권의 제도화가 갖는 의미와 주요 쟁점을 중심으로 국내 지역인권의 제도화 과정에서 경험된 성과와 과제에 대해 다룬다. 지난 2013년 대한민국 정부의 주창으로 유엔인권이사회가 ‘지방정부와 인권’이라는 […]
(사)인권정책연구소는 서울특별시가 용역 발주한 “서울시 자치법규 인권관련 실태조사” 사업을 수행하였습니다. 기존 서울시 자치법규들이 인권적인 관점에서 인권의 내용을 구현하기에 적합하게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연구와 이를 바탕으로 자치법규 제개정시 참고할 수 있는 원칙들을 정리하여 향후 인권친화적 제도 구축을 제시하였습니다.
(사)인권정책연구소는 성남시의 인권 상황에 대한 점검과 이에 맞는 인권정책의 틀을 검토하여 정책 대안을 제시하였습니다.
강원도 학생생활문화 및 학교구성원 인권실태조사 (2014, 2016) 강원도 교육청의 경우 학생인권조례가 제정되어 있지 않은 상황에서의 학생인권의 상황을 확인하고 단기적인 단계에서의 필요한 정책 등에 대한 제안을 담았습니다. 강원교육청 학생인권실태조사 최종보고서(2016)
서울시교육청 인권친화적 학교문화 조성을 위한 학생인권실태조사(2015) 서울시교육청이 조례 제정이후 처음 실시한 전반적 학생인권실태조사 보고서입니다. 첫 실태조사인 만큼 서울시내 전체학교를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서울시내 학교내 인권문화 정착을 위하여 필요한 제안을 담았습니다. 서울시_학생인권실태조사_교육정보연구원_편집(2015)
경기도 교육청 학생인권실태조사 (2012-2015) 4차례 진행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우리사회에서 학생인권조례의 제정과 정착에 시작을 끌어가고 있는 경기도 내 학교에서의 학생인권의 현황과 개선방향을 연구 제안하였습니다.